Conference Presentations
Joe, J. & Kim, M.-S. (2024, 11). The Effect of Spatiotemporal Information on Feature Binding in Visual Working Memory. Poster presentation at the 65th Annual Meeting of the Psychonomic Society, New York City, NY.
Yoh, H. & Kim, M.-S. (2024. 11). Temporal Interitem Relations in Visual Working Memory. Poster presented at OPAM 32, New York City, NY.
Yang, Y., Joe, J., & Kim, M.-S. (2024. 11). The influence of target-distractor similarity on the attentional boost effect. Poster presented at OPAM 32, New York City, NY.
여혜리, 김민식(2024, 08). 시각적 작업기억 항목들의 시간적 구조: 절대적인가, 상대적인가?, 2024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경주.
여혜리, 김민식(2024, 02). 시각적 작업기억 항목들의 시간적 순서 정보: 절대적인가, 상대적인가?, 2024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학술대회, 서울.
조주연, 김민식(2024, 02). 접합적 영역에서의 확률 추론에 따른 주의 유도, 2024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학술대회, 서울.
홍리정, 윤기림, 김윤경, 정상철(2024, 02). 사회적 상호작용이 분위기 판단에 미치는 효과, 2024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학술대회, 서울.
이지원, 김민식(2023, 12). 행동 난이도가 주의 초점에 미치는 영향, 2023 한국 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학술대회, 대전.
박동민, 김민식(2023, 08). 복수 표적에 대한 단일 반응이 사건 파일을 형성하는 방식, 2023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수원.
이지원, 김민식(2023, 08). 동작 난이도가 주의 초점 크기에 미치는 영향, 2023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수원.
조주연, 김민식(2023,05). 시각적 작업 기억에서 공간주의의 역할: 세부특징 결합을 중심으로, 2023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서울.
황희은, 김민식(2023,05). 범주 사례의 사전 노출이 범주 판단에 미치는 영향: 사례의 전형성 유형을 중심으로, 2023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서울.
김윤경, 김민식(2023,02). 시각탐색에서 시간적 맥락에 따른 위치 확률 학습, 2023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조주연, 김민식(2023,02). 공간 주의가 시각 작업 기억에 미치는 영향, 2023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황희은, 김민식(2023,02). 비전형적 사례의 노출 경험이 범주 판단에 미치는 영향, 2023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Choe, E., Cho, J., & Kim, M.-S. (2022. 11). Visual attention can be guided by implicit learning of sequential regularities in working memory. Poster presented at OPAM 30, Boston, Massachusetts.
김윤경, 김민식(2022,08). 행동 시점에 따른 행동효과, 2022년도 한국심리학회, 온라인.
성가름, 김민식(2022,05). 금전적 보상의 빈도와 크기가 확률 학습에 미치는 영향, 2022년도 한국 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온라인.
홍리정, 김민식(2022,02). 시선 단서에서 얼굴과 배경의 방향에 따른 맥락 불일치 효과, 2022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조주연, 최은혜, 김민식(2022,02). 시각 작업 기억과 탐색 표적 간 계열적 규칙성에 대한 암묵 학습, 2022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성가름, 김민식(2022,02). 시각탐색에서 보상의 빈도와 크기에 따른 위치 확률 학습, 2022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Hong, I. & Kim, M.-S. (2021.11). Target template variation reduces attentional bias by statistical learning. The 62nd Annual Meeting of Psychonomic Society, Online.
Hong, I. & Kim, M.-S. (2021.11). Spatiotemporal updating of attentional bias depending on the awareness state of statistical regularity. OPAM XXVIIII, Online.
홍인재, 김민식(2021,07). 통계 지식의 의식 수준에 따른 공간 주의 편향의 재조정, 2021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홍인재, 김민식(2021,07). 표적 형판 변화에 의한 공간 주의 편향의 감소, 2021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홍리정, 김민식(2021,07). 배경장면과 함께 제시한 시선단서의 효과, 2021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박혜린, 김민식(2021,07). 의식적 자각 없는 인간의 조작적 조건형성의 증거: 반응 속도 수반성을 중심으로, 2021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Hong, I. & Kim, M.-S. (2020, 11). Spatial coding may depend on culture in location probability learning. Video presentation at the 61th Annual Meeting of the Psychonomic Society, Online.
Choe, E., & Kim, M.-S. (2020, 11). Eye-specific probability cueing effect by history-driven attention. Poster presented at OPAM XXVIII, online.
홍인재, 김민식(2020,08). 위치 확률 학습에서의 문화-의존적인 공간 표상, 2020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최은혜, 김민식(2020,08). 선택 이력에 의한 안구 특정적 주의 편향, 2020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Lee, M. & Kim, M.-S. (2019, 11). Modeling hemispheric asymmetry in categorical emotion perception. Poster presented at the OPAM 27, Québec, Canada
Han, S., Ji, E., Choe, E., Kim, D. G., & Kim, M.-S. (2019, 11). Action effect induced by planning action. Poster presented at OPAM XXVII, Montreal, Canada.
Choe, E., & Kim, M.-S. (2019, 11). Eye-specific repetition priming in binocular rivalry. Poster presented at OPAM XXVII, Montreal, Canada.
Nam, K., Lee, M., Hong, I., & Kim, M.-S. (2019, 11). Effects of feedback on categorical judgement and resilience to concept boundary change. Poster presented at the 60th Annual Meeting of the Psychonomic Society, Québec, Canada.
Hong, I., Kim, M.-S., & Jeong, S. K. (2019, 08). The influence of temporal probability change on location probability learning. Poster presented at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Hong, I. J., Kim, M.-S., & Jeong, S. K., (2019, 5). Reduction of attentional bias through gradual signal change, Poster presented at Vision Sciences Society, St. Pete Beach, Florida.
Jung, S. R., Lee, K. B., Lee, M. J., Ji, E. H. & Kim, M.-S., (2019, 5). The role of attention in the action effect, Poster presented at Vision Sciences Society, St. Pete Beach, Florida.
남유종, 이명진, 홍인재, 김민식,(2019,2). 범주 판단에 대한 피드백이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한서희, 김민식(2019,2). 색 확률 단서와 행동 효과,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최은혜, 김민식(2019,2). 양안 경쟁에 의한 안구 특정적 반복 점화,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이명진, 김민식(2019, 2). 범주적 감정 지각의 반구 비대칭성,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김도균, 지은희, 최은혜, 한서희, 김민식(2019,2). 행동 효과에서의 의미 표상의 역할,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홍인재, 김민식, 정수근(2019,2). 단계적 신호 감소에 따른 공간주의 편향의 변화,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지은희, 김민식(2019,2). 무의식적 공간 작업기억과 주의,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김도균, 최은혜, 한서희, 지은희, 김민식(2018, 8). 행동 효과(Action Effect)에서의 의미적 행동 표상과 물리적 행위의 역할, 2018 제72차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정소리, 이기쁨, 이명진, 지은희, 김민식(2018, 8). 주의가 행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 2018 제72차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Hong, I. J, Jeong, S.-K., & Kim, M.-S. (2018, 05). Task relevance affects the context-dependency of implicit learning. Poster presentation at 18th Annual Meeting of Vision Sciences Society, FL.
지은희, 안서연, 홍인재, 김민식(2018.02). 암묵적 기억에서의 인출유도망각현상, 2018년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5차 학술대회, 수원.
Hong, I., & Kim, M.-S. (2018, 02). Task relevance affects implicit learning of a context-independent or context-specific spatial bias. Oral presentation at 55th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 Biological Psychology, Suwon, South Korea.
Lee, K., Ji, E.H., Kim, M.-S. (2017, 11). Nonconscious Spatial Working Memory and Spatial Attention, OPAM(Object Perception Attention and Visual Memory), Vancouver, Canada
Hong, I., & Kim, M.-S., (2017, 6) Implicit Learning of a Task-Predicting Response Cue, The Science of Consciousness Conference, San Diego, California.
홍윤지, 김민식(2017,5). 운동유도맹시에 의한 자극 표상의 변화, 2017 한국인지과학회 연차학술대회.
Hong, Y.J., & Kim, M.-S., (2017, 5). The fate of targets that become invisible by motion-induced blindness, 2017 한국감성과학회 춘계학술대회.
김정현, 김민식(2017, 1). 특정한 맥락단서가 다른 맥락단서들의 출현 비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4차 학술발표대회, 부산.
안서연, 김민식(2017, 1). 표적자극의 변화가 맥락단서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4차 학술발표대회, 부산.
홍인재, 김민식(2017,1). 반응 수반적인 과제의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4차 학술발표대회, 부산.
홍인재, 김정현, 지은희, 탁경진, 김민식. (2016,8). 권력 관계에서의 사회적 의사결정.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이승은, 김민식 (2016, 5). 의사결정에서 반응 수반성의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Jun, H., & Kim, M.-S., (2016, 5). Crossmodal Attentional Blink Induced by Executive Working. Poster presented at Vision Sciences Society, St. Pete Beach, Florida.
이승은, 김민식 (2016, 1). 반응속도 수반적인 전략에 대한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3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이경민, 김민식 (2016, 1). 억제 확률 단서에 대한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3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전해찬, 김민식 (2016, 1). 집행 작업 기억에 의해 유도되는 교차 양상 주의 깜빡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3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지은희, Lisa Son, 김민식 (2016, 1). 마음 읽기에서 문화적 배경의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3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지은희 (2015, 5). 무의식적 내인성 단서에 의한 공간적 주의 할당.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이경민, 지은희 (2015, 5). 암묵적 작업기억과 명시적 작업기억의 관계.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Ji, E.H., Lee, K. M., Ahn, S. Y., Choi, Y. J,. & Kim, M.-S., (2015, 3). Implicit Working Memory is Still Working During Visual Search. Poster presented at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San Francisco, CA.
Ahn, S.Y., Ji, E. H., Choi, Y. J., Lee, K. M., & Kim, M.-S., (2015, 3). Mean Size of Stimuli in Visual Search Guides Spatial Attention. Poster presented at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San Francisco, CA.
김혜성, 김민식 (2015, 1). 스트룹 비교과제에서의 갈등순응효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2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지은희, 이경민, 김민식 (2015, 1). 시각 탐색에서 암묵적 작업 기억의 역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2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Hwang, B.-W., Kim, H., Kim, H. J., & Kim, M.-S., (2014, 4). Implicit Learning of Speed-Contingent Target Location. Poster presented at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Boston, MA.
김경아, 김민식 (2014, 1). 의식 및 무의식적 정서가 크기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1차 학술발표대회, 부여.
황병우, 김민식 (2014, 1). 반응속도 수반적인 표적 위치의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1차 학술발표대회, 부여.
지은희, 김민식 (2013, 5). 무의식적 공간 작업기억과 시각탐색. 한국 인지과학 학술대회, 서강대학교.
나종인, 김민식 (2013, 1). 길이 및 두께 판단에서의 선택맹.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0차 학술발표대회, 경주.
박수현, 김민식 (2013, 1). 협동과 경쟁 맥락이 기억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0차 학술발표대회, 경주.
서경보, 김민식 (2013, 1). 평향된 성비 맥락에서 얼굴의 성별에 따른 주의 효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0차 학술발표대회, 경주.
Park, S. H., Nah, C.-I., Ji, E. H., & Kim, M.-S., (2012). Know thy enemy: Competition is better than cooperation in recall performance. Poster presented at Psychonomics Society, Minneapolis, MN.
남혜영, 김민식. (2011, 6). 부정 패드백이 관련 자극의 재인 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연세대학교.
주은아, 김민식. (2011, 6). 의사결정시 가중치 판단에서의 무의식적 사고 과정의 한계.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연세대학교.
차지현, 김민식. (2011, 6). 심상 완성 과제를 통한 지각적 인출 유도 망각.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연세대학교.
Kim, Y. J., Cha, J., Joo, E., Seo, K. B., Park, S. H. (2011, 5). Contextual effect in object-based attention when target is integral to the object. Vision 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Naples, Florida.
Cha, J., Joo, E., Seo, K. B., Park, S. H. (2011, 5). Retrieval-induced Perceptual Suppression: Selective retrieval of mental images can result in perceptual deterioration of non-retrieved images. Vision 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Naples, Florida.
Won, B. & Kim, M.-S.(2008, 11). The effect of monetary incentives on attentional capture caused by viewing faces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Society for Neuroscience, Washington, DC.
Jung, Y. J., Nguyen, N., Kim,Y. J., Nam, H. Y., & Kim, M.-S. (2008, 11). How does awareness modulate intertrial processing?, 49th Annual Meeting of Psychonomic Society, Chicago, IL.
Lee, S., A., Kim, J. H., & Kim, M,-S. (2008, 7). Effect of a perceptual cue during sequential motor skill learning.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Jung, Y. J., Nguyen, N., Kim, M.-S. (2008, 7). How does awareness modulate the intertrial processing of task-relevant information?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Han, J. & Kim, M.-S. (2008, 7). The interaction of prime and mask in the processing of repeated-emotional stimuli,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Kim, K. M., Kim, Y. J., & Kim, M. -S. (2008, 7). Negative Priming of ignored context in visual search,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Jeong, S. K. & Kim, M.-S. (2008, 5). Social and emotional biases increase with monetary incentives through attentional inhibition. Vision 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Naples, Florida.
Han J. & Kim M-S. (2007, 8). Affective negative priming in response-inhibition paradigm. European Conference on Visual Perception. Arezzo, Italy.
Jung, Y. J., Lim, H. K., Lee, S. (2007, 10). The effect of awareness on intertrial priming effect.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on, Consciousness, and Culture, Seoul, Korea.
Lee, S., Jung, Y. J., Lim, H. K. (2007, 10). The effect of additional cue on the motor skill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on, Consciousness, and Culture, Seoul, Korea.
Lim, H. K., Lee, S., Jung, Y. J. (2007, 10). Effects of working memory load on implicit sequence learning .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on, Consciousness, and Culture, Seoul, Korea.
Han S. W., Kim, M. -S. (2007, 5). Do the contents of working memory capture attention? Yes, but it's under control.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Won, B. & Kim, M.-S. (2007, 5). The attentional tracking system in each hemifield cannot move toward the other hemifield.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Han, S. W. & Kim, M. -S. (2007, 1). Do the contents of working memory capture attention? Yes, but it's under control.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공군 항공안전관리단.
Won, B. & Kim, M.-S. (2007, 1). The attentional resource for tracking in each hemifield cannot move across the hemifield.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공군 항공안전관리단.
Jeong, S. K. & Kim, M.-S. (2007, 1). Monetary incentives increase attentional effects on social and emotional judgment.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공군 항공안전관리단.
Kim, M.-S. (2006, 7). Spatial Working Memory Content Serves as a Contextual Cue in Visual Search. The Fourth Asian Conference on Vision, Kunibiki Messe, Matsue, Japan.
민수정, 임현규, 김민식. (2006, 6). 얼굴 자극에 대한 작업기억 유지와 선택이 사회-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대회, 고려대학교.
김가민, 김민식. (2006, 6). What is learned in ignored visual context?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고려대학교.
한석원, 김민식. (2006, 6). Spatial working memory load impairs signal enhancement, not attentional orienting.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고려대학교.
Min, S. J., Kim, K. M., Won, B.Y., & Kim, M. -S. (2006, 5). Negative priming in pure perceptual-based sequence learning.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Min, S. J., & Kim, M. -S. (2006, 5). Concurrent working memory load can reduce distraction: An fMRI study.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Kim, K. M., & & Kim, M. -S. (2006, 5). What is learned in ignored visual context?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Kim, J. J., Kim, M. -S., & Chun, M. M. (2006, 5). Predictive spatial working memory content guides visual search.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Kim, H., J., & Kim, M, -S. (2006, 5). Working memory training reduces working memory load effect.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Han, S. W., & Kim, M. -S. (2006, 5). Spatial working memory load impairs signal enhancement, not attentional orienting.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Choo, H. Y., & Kim, M. -S. (2006, 5). Spatial selection either improves or impairs temporal selection in a RSVP task.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Baek, J. S., Yi, D. J., & Kim, M. -S. (2006, 5). Increasing perceptual difficulty reveals implicit spatial memory.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Ahn, J. W., Jeong, S. K., & Kim, M. -S. (2006, 5). Top-down attentional shift in object working memory task: A distinction between ‘what’ and ‘where’ in visual working memory still remains uncertain.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추희영, 김민식. (2006, 1). The Effect of Attentional Control on the Attentional Blink.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고려대학교.
민수정, 김가민, 원보영, 김민식. (2006, 1). Concurrent working memory load can reduce the interference from distractor: An fMRI study.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고려대학교.
김희정, 김민식. (2006, 1). Effect of working memory training on the working memory load effect.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고려대학교.
김장진, 김민식. (2006, 1). Predictive spatial working memory content serves as contextual cues.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고려대학교.
손영숙, 민수정, 김민식. (2005, 8). 공간적 주의가 단어와 비단어의 지각적 검화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지리산국립공원 한화리조트.
탁경진, 김민식. (2005, 8). 작업기억이 시각적 표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지리산국립공원 한화리조트.
안지원, 김민식. (2005, 8). 시각 탐색과 공간적 작업기억간 상호 간섭의 원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지리산국립공원 한화리조트.
Park, S. J., Kim, M. -S., Chun, M. M. (2004, 9). The type of working memory load influences the magnitude of distractor interference in a selective attention task. Vision 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Kim, S.-Y., & Kim, M.-S. (2004, 9). Stroop interference increases or decreases depending on type of concurrent working memory load. Society for Neuroscience 2004, San Diego, CA, US.
Tark, K.-J., & Kim, M.-S. (2004, 11)The effects of working memory on visual marking.The Third Asian Conference on Vision, ACV2004, Chongqing, China.
Han, J., Chung, C. S., & Kim, M. -S.(2004, 11) The effect of race and emotion on facial memory, ACV2004, Chongqing, China.
Ahn, J.-W, & Kim, M.-S. (2004, 11) The roles of spatial attention and spatial working memory during visual search The Third Asian Conference on Vision, ACV2004, Chongqing, China.
김소연, 김민식. (2004, 8). 작업기억의 부하가 스트룹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심리학회 하계 연차대회. 부산대학교.
손영숙, 김민식. (2004, 7). 대뇌 반구의 상호작용이 스트룹 간섭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험심리학회 여름학술대회 발표 논문. 대구 경북대학교.
Choi, H. J., & Kim, M.-S. (2004, 6).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on visual temporal resolution. 한국 인지과학회
Sohn, Y-S., & Kim, M -S. (2004, 6). The ninety-ninth way to reduce response conflict. 2004 Korea-Japan Joint Symposium on Emotion & Sensibil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oen, Korea.
Kim, S.-Y., & Kim, M.-S. (2004, 4). The effect of working memory load on stroop tasks. 한국 뇌 학회.
Sohn, Y-S., & Yang H. (2004, April). When does the between-hemisphere separation of target and distractor reduce interference due to competing responses? Paper presented at the 11th Cognitvie Neur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San Francisco.
Kim, M.-S.(2003, 9). Priming effect on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 ECVP, Paris.
Oh, S. H., & Kim, M.-S. (2003, 8). The biasing effect of working memory during non-specific target search. 한국 심리학회 연차 학술대회
양혜진, 김민식. (2003, 8). 주의의 할당이 주의와 선택의 분리 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 학회 연차 학술대회.
손영숙. (2003. 8). 그 여자의 뇌, 그 남자의 뇌.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심포지엄 발표 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Yang, H. J., & Kim, M.-S. (2003, 7). What affects the dissociation between attentional selection.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Kim, M.-S.(2003, 5) The guidance effect of working memory load on visual search. Vision Science Society.
Sohn, Y-S., & Lee, H-K. (2003, 4). Do we need interhemisphric interaction to reduce inter-item interference?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이현규, 김민식 (2002,8) Activity and familiarity of memory contents influence spatial attention. The 25th European Conference on Visual Perception (Glasgow, UK)
오세환, 김민식 (2002,7) Visual search efficiency is affected by spatial working memory. The Second Asian Conference on Vision (경주)
한상훈, 김민식 (2002,7) Visual search does not remain efficient when working memory is working. The Second Asian Conference on Vision (경주)
권민영, 김민식 (2002,7) What makes individual differences in spatial working memory?. The Second Asian Conference on Vision (경주)
손영숙, 이현규, 옥애니, 김민식 (2002,7) Attention is necessary for the recognition of viewpoint-specific novel object. The Second Asian Conference on Vision (경주)
손영숙, 이현규 (2002, 7) 대뇌반구의 상호작용이 반구간 전역-국지 간섭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여름 학술대회 (대전 신용협동조합 연수원)
한세현, 김민식 (2002,7) 시각적 표시 패러다임에서 맥락단서효과는 나타나는가.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여름 학술대회 (대전 신용협동조합 연수원)
현진실, 김민식 (2002,7) 시각탐색에서 배경맥락의 암묵적 학습.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여름 학술대회 (대전 신용협동조합 연수원)
권미경, 김민식 (2002,1) 주의의 대상효과에 대한 재고찰: 움직이는 대상에서의 회귀억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연세대학교)
한상훈, 김민식 (2002,1) 작업 기억이 시각탐색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연세대학교)
Sohn,Y. S., Kwon, M. Y., & Kim, M. S. (2001,8) Bi-hemispheric Division of Inputs Reduces Negative Compatibility Effect.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Beijing)
Kwon, M. K., & Kim, M. S. (2001,8) Object Effects Mediated by Location-Based Selection.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Beijing)
백종수, 이도준, 김민식 (2001,7) 청각적 배경광고의 암묵적 기억효과.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여름 학술대회 (전남대학교)
권미경, 김민식 (2001,6) 움직이는 대상에서의 공간적 주의의 효과.한국 뇌학회 연차 학술대회 (숭실대학교)
연은경, 김민식 (2001, 6) 의미적 맥락에 대한 처리가 암묵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서울대학교), 150-155.
옥애니, 김민식 (2001, 1) 상징적 공간표상에서의 상향적 및 하향적 주의기제,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서울대학교), 1-14.
박연우, 김민식 (2001, 1) 주변자극의 위계적 수준이 목표자극의 국소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서울대학교), 23-35
Robertson, L. C., & Kim, M. S. (2000, November). Intact implicit spatial knowledge after bilateral parietal lobe lesions. Society for Neuroscience, Abstract 26, 1588.
Garng, H.-J., Kim, M.-S., & Hyun, J.-S. (2000, November). Orientation Dependence in Shape Recognition on the Surface of a 3-D Object.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Psychonomic Society, New Orleans.
Kim, M.-S., & Yi, D.-J. (2000, August). Inhibition of Return and Visual Masking at Invisible Objects behind Occluders, European Conference on Visual Perception 2000 (Groningen, Netherlands).
옥애니, 김민식 (2000, 7) 선택적 주의가 지각적 점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여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통신 지리산 수련관), 66-72.
심원목, 김민식 (2000, 6) 맥락 단서효과에서 맥락의 구성요소, 한국 뇌학회 연차 학술대회 (연세대학교), 27.
이도준, 김민식 (2000, 1) 가려진 대상에서의 회귀억제와 차폐 효과,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육군사관학교), 83-93.
강현정, 김민식 (2000, 1) 입체적 대상 표면에서의 형태 재인의 방위 의존성,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육군사관학교), 95-103.
김민식, 이도준 (1999, 7) 위치에 근거한 선택에서의 위치의 본질: 상징적 공간 탐사 과제로부터의 증거,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여름학술대회 논문집 (영남대학교), 1-11.
Shim, W.-M., & Kim, M.-S. (1999, July). Effects of selective attention on repetition priming for visual search elements,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Waseda Univ. Tokyo), 815-818.
심원목, 김민식 (1999, 7) 선택적 주의와 단어 정체 확인과정이 암묵기억과 외현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여름학술대회 논문집 (영남대학교), 69-82.
Yi, D.-J., & Kim, M.-S. (1999, July). The line motion illusion in visual search (1999, 7),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Waseda Univ. Tokyo), 591-594.
이도준, 김민식 (1999, 5) 시각탐색을 통한 선분운동 착시의 유도: 주의경감 가설과 가현운동 가설의 비교,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고려대학교), 496-506.
김민식 (1999, 1) 선택적 주의 연구의 인지 및 신경심리학적 접근. Neuro-computing 연구회 정기세미나.
김민식 (1998, 10). 초점주의과제에서 지각적 군집화와 공간적 선택.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대회 논문집(서울대학교), 617-631.
Robertson, L. C., Kim, M.-S., & Barnes, L. (1998, April). Attentional cueing effects: The role of perceived space.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San Francisco, CA.
Kim, M.-S., & Robertson, L. C. (1997, November). Unconscious spatial information in a patient with Balint's syndrome. Psychonomic Society Annual Meeting, Philadelphia, PA.
Kim, M.-S., & Robertson, L. C. (1997, March). Spatial attention in feature search: Evidence from a patient with bilateral parietal lesions.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Boston, MA.
Kim, M.-S., & Cave, K. R. (1996, October). How grouping affects spatial attention during visual search. Psychonomic Society Annual Meeting, Chicago, IL.
Kim, M.-S., & Cave, K. R. (1996, April). Measuring spatial attention during task-irrelevant perceptual grouping.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ARVO), Fort Lauderdale, FL.
Cave, K.R., Kim, M.-S., Bichot, N.P., & Sobel, K.V. (1996, March). Modeling feature and conjunction searches with feature-driven location selection.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San Francisco, CA.
Kim, M.-S., & Cave, K. R. (1994, November). A neural network model for visual selection. Psychonomic Society Annual Meeting, St. Louis, MO.
Kim, M.-S., & Cave, K. R. (1993, November). Spatial attention in searching for features and feature conjunctions. Psychonomic Society Annual Meeting, Washington, DC.
Kim, M.-S., & Chung, C. S. (1988). The effects of letter form and meaningfulness of syllable on Hangul recognition.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Experimental & Cognitive Branch Meeting, Seoul, Korea.
Yoh, H. & Kim, M.-S. (2024. 11). Temporal Interitem Relations in Visual Working Memory. Poster presented at OPAM 32, New York City, NY.
Yang, Y., Joe, J., & Kim, M.-S. (2024. 11). The influence of target-distractor similarity on the attentional boost effect. Poster presented at OPAM 32, New York City, NY.
여혜리, 김민식(2024, 08). 시각적 작업기억 항목들의 시간적 구조: 절대적인가, 상대적인가?, 2024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경주.
여혜리, 김민식(2024, 02). 시각적 작업기억 항목들의 시간적 순서 정보: 절대적인가, 상대적인가?, 2024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학술대회, 서울.
조주연, 김민식(2024, 02). 접합적 영역에서의 확률 추론에 따른 주의 유도, 2024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학술대회, 서울.
홍리정, 윤기림, 김윤경, 정상철(2024, 02). 사회적 상호작용이 분위기 판단에 미치는 효과, 2024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학술대회, 서울.
이지원, 김민식(2023, 12). 행동 난이도가 주의 초점에 미치는 영향, 2023 한국 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학술대회, 대전.
박동민, 김민식(2023, 08). 복수 표적에 대한 단일 반응이 사건 파일을 형성하는 방식, 2023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수원.
이지원, 김민식(2023, 08). 동작 난이도가 주의 초점 크기에 미치는 영향, 2023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수원.
조주연, 김민식(2023,05). 시각적 작업 기억에서 공간주의의 역할: 세부특징 결합을 중심으로, 2023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서울.
황희은, 김민식(2023,05). 범주 사례의 사전 노출이 범주 판단에 미치는 영향: 사례의 전형성 유형을 중심으로, 2023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서울.
김윤경, 김민식(2023,02). 시각탐색에서 시간적 맥락에 따른 위치 확률 학습, 2023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조주연, 김민식(2023,02). 공간 주의가 시각 작업 기억에 미치는 영향, 2023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황희은, 김민식(2023,02). 비전형적 사례의 노출 경험이 범주 판단에 미치는 영향, 2023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Choe, E., Cho, J., & Kim, M.-S. (2022. 11). Visual attention can be guided by implicit learning of sequential regularities in working memory. Poster presented at OPAM 30, Boston, Massachusetts.
김윤경, 김민식(2022,08). 행동 시점에 따른 행동효과, 2022년도 한국심리학회, 온라인.
성가름, 김민식(2022,05). 금전적 보상의 빈도와 크기가 확률 학습에 미치는 영향, 2022년도 한국 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온라인.
홍리정, 김민식(2022,02). 시선 단서에서 얼굴과 배경의 방향에 따른 맥락 불일치 효과, 2022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조주연, 최은혜, 김민식(2022,02). 시각 작업 기억과 탐색 표적 간 계열적 규칙성에 대한 암묵 학습, 2022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성가름, 김민식(2022,02). 시각탐색에서 보상의 빈도와 크기에 따른 위치 확률 학습, 2022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Hong, I. & Kim, M.-S. (2021.11). Target template variation reduces attentional bias by statistical learning. The 62nd Annual Meeting of Psychonomic Society, Online.
Hong, I. & Kim, M.-S. (2021.11). Spatiotemporal updating of attentional bias depending on the awareness state of statistical regularity. OPAM XXVIIII, Online.
홍인재, 김민식(2021,07). 통계 지식의 의식 수준에 따른 공간 주의 편향의 재조정, 2021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홍인재, 김민식(2021,07). 표적 형판 변화에 의한 공간 주의 편향의 감소, 2021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홍리정, 김민식(2021,07). 배경장면과 함께 제시한 시선단서의 효과, 2021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박혜린, 김민식(2021,07). 의식적 자각 없는 인간의 조작적 조건형성의 증거: 반응 속도 수반성을 중심으로, 2021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Hong, I. & Kim, M.-S. (2020, 11). Spatial coding may depend on culture in location probability learning. Video presentation at the 61th Annual Meeting of the Psychonomic Society, Online.
Choe, E., & Kim, M.-S. (2020, 11). Eye-specific probability cueing effect by history-driven attention. Poster presented at OPAM XXVIII, online.
홍인재, 김민식(2020,08). 위치 확률 학습에서의 문화-의존적인 공간 표상, 2020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최은혜, 김민식(2020,08). 선택 이력에 의한 안구 특정적 주의 편향, 2020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온라인.
Lee, M. & Kim, M.-S. (2019, 11). Modeling hemispheric asymmetry in categorical emotion perception. Poster presented at the OPAM 27, Québec, Canada
Han, S., Ji, E., Choe, E., Kim, D. G., & Kim, M.-S. (2019, 11). Action effect induced by planning action. Poster presented at OPAM XXVII, Montreal, Canada.
Choe, E., & Kim, M.-S. (2019, 11). Eye-specific repetition priming in binocular rivalry. Poster presented at OPAM XXVII, Montreal, Canada.
Nam, K., Lee, M., Hong, I., & Kim, M.-S. (2019, 11). Effects of feedback on categorical judgement and resilience to concept boundary change. Poster presented at the 60th Annual Meeting of the Psychonomic Society, Québec, Canada.
Hong, I., Kim, M.-S., & Jeong, S. K. (2019, 08). The influence of temporal probability change on location probability learning. Poster presented at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Hong, I. J., Kim, M.-S., & Jeong, S. K., (2019, 5). Reduction of attentional bias through gradual signal change, Poster presented at Vision Sciences Society, St. Pete Beach, Florida.
Jung, S. R., Lee, K. B., Lee, M. J., Ji, E. H. & Kim, M.-S., (2019, 5). The role of attention in the action effect, Poster presented at Vision Sciences Society, St. Pete Beach, Florida.
남유종, 이명진, 홍인재, 김민식,(2019,2). 범주 판단에 대한 피드백이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한서희, 김민식(2019,2). 색 확률 단서와 행동 효과,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최은혜, 김민식(2019,2). 양안 경쟁에 의한 안구 특정적 반복 점화,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이명진, 김민식(2019, 2). 범주적 감정 지각의 반구 비대칭성,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김도균, 지은희, 최은혜, 한서희, 김민식(2019,2). 행동 효과에서의 의미 표상의 역할,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홍인재, 김민식, 정수근(2019,2). 단계적 신호 감소에 따른 공간주의 편향의 변화,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지은희, 김민식(2019,2). 무의식적 공간 작업기억과 주의, 2019년도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창.
김도균, 최은혜, 한서희, 지은희, 김민식(2018, 8). 행동 효과(Action Effect)에서의 의미적 행동 표상과 물리적 행위의 역할, 2018 제72차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정소리, 이기쁨, 이명진, 지은희, 김민식(2018, 8). 주의가 행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 2018 제72차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서울.
Hong, I. J, Jeong, S.-K., & Kim, M.-S. (2018, 05). Task relevance affects the context-dependency of implicit learning. Poster presentation at 18th Annual Meeting of Vision Sciences Society, FL.
지은희, 안서연, 홍인재, 김민식(2018.02). 암묵적 기억에서의 인출유도망각현상, 2018년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5차 학술대회, 수원.
Hong, I., & Kim, M.-S. (2018, 02). Task relevance affects implicit learning of a context-independent or context-specific spatial bias. Oral presentation at 55th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 Biological Psychology, Suwon, South Korea.
Lee, K., Ji, E.H., Kim, M.-S. (2017, 11). Nonconscious Spatial Working Memory and Spatial Attention, OPAM(Object Perception Attention and Visual Memory), Vancouver, Canada
Hong, I., & Kim, M.-S., (2017, 6) Implicit Learning of a Task-Predicting Response Cue, The Science of Consciousness Conference, San Diego, California.
홍윤지, 김민식(2017,5). 운동유도맹시에 의한 자극 표상의 변화, 2017 한국인지과학회 연차학술대회.
Hong, Y.J., & Kim, M.-S., (2017, 5). The fate of targets that become invisible by motion-induced blindness, 2017 한국감성과학회 춘계학술대회.
김정현, 김민식(2017, 1). 특정한 맥락단서가 다른 맥락단서들의 출현 비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4차 학술발표대회, 부산.
안서연, 김민식(2017, 1). 표적자극의 변화가 맥락단서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4차 학술발표대회, 부산.
홍인재, 김민식(2017,1). 반응 수반적인 과제의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4차 학술발표대회, 부산.
홍인재, 김정현, 지은희, 탁경진, 김민식. (2016,8). 권력 관계에서의 사회적 의사결정.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이승은, 김민식 (2016, 5). 의사결정에서 반응 수반성의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Jun, H., & Kim, M.-S., (2016, 5). Crossmodal Attentional Blink Induced by Executive Working. Poster presented at Vision Sciences Society, St. Pete Beach, Florida.
이승은, 김민식 (2016, 1). 반응속도 수반적인 전략에 대한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3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이경민, 김민식 (2016, 1). 억제 확률 단서에 대한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3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전해찬, 김민식 (2016, 1). 집행 작업 기억에 의해 유도되는 교차 양상 주의 깜빡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3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지은희, Lisa Son, 김민식 (2016, 1). 마음 읽기에서 문화적 배경의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3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지은희 (2015, 5). 무의식적 내인성 단서에 의한 공간적 주의 할당.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이경민, 지은희 (2015, 5). 암묵적 작업기억과 명시적 작업기억의 관계. 한국인지과학회 학술대회.
Ji, E.H., Lee, K. M., Ahn, S. Y., Choi, Y. J,. & Kim, M.-S., (2015, 3). Implicit Working Memory is Still Working During Visual Search. Poster presented at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San Francisco, CA.
Ahn, S.Y., Ji, E. H., Choi, Y. J., Lee, K. M., & Kim, M.-S., (2015, 3). Mean Size of Stimuli in Visual Search Guides Spatial Attention. Poster presented at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San Francisco, CA.
김혜성, 김민식 (2015, 1). 스트룹 비교과제에서의 갈등순응효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2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지은희, 이경민, 김민식 (2015, 1). 시각 탐색에서 암묵적 작업 기억의 역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2차 학술발표대회, 제주.
Hwang, B.-W., Kim, H., Kim, H. J., & Kim, M.-S., (2014, 4). Implicit Learning of Speed-Contingent Target Location. Poster presented at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Boston, MA.
김경아, 김민식 (2014, 1). 의식 및 무의식적 정서가 크기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1차 학술발표대회, 부여.
황병우, 김민식 (2014, 1). 반응속도 수반적인 표적 위치의 암묵적 학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1차 학술발표대회, 부여.
지은희, 김민식 (2013, 5). 무의식적 공간 작업기억과 시각탐색. 한국 인지과학 학술대회, 서강대학교.
나종인, 김민식 (2013, 1). 길이 및 두께 판단에서의 선택맹.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0차 학술발표대회, 경주.
박수현, 김민식 (2013, 1). 협동과 경쟁 맥락이 기억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0차 학술발표대회, 경주.
서경보, 김민식 (2013, 1). 평향된 성비 맥락에서 얼굴의 성별에 따른 주의 효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제 50차 학술발표대회, 경주.
Park, S. H., Nah, C.-I., Ji, E. H., & Kim, M.-S., (2012). Know thy enemy: Competition is better than cooperation in recall performance. Poster presented at Psychonomics Society, Minneapolis, MN.
남혜영, 김민식. (2011, 6). 부정 패드백이 관련 자극의 재인 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연세대학교.
주은아, 김민식. (2011, 6). 의사결정시 가중치 판단에서의 무의식적 사고 과정의 한계.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연세대학교.
차지현, 김민식. (2011, 6). 심상 완성 과제를 통한 지각적 인출 유도 망각.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연세대학교.
Kim, Y. J., Cha, J., Joo, E., Seo, K. B., Park, S. H. (2011, 5). Contextual effect in object-based attention when target is integral to the object. Vision 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Naples, Florida.
Cha, J., Joo, E., Seo, K. B., Park, S. H. (2011, 5). Retrieval-induced Perceptual Suppression: Selective retrieval of mental images can result in perceptual deterioration of non-retrieved images. Vision 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Naples, Florida.
Won, B. & Kim, M.-S.(2008, 11). The effect of monetary incentives on attentional capture caused by viewing faces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Society for Neuroscience, Washington, DC.
Jung, Y. J., Nguyen, N., Kim,Y. J., Nam, H. Y., & Kim, M.-S. (2008, 11). How does awareness modulate intertrial processing?, 49th Annual Meeting of Psychonomic Society, Chicago, IL.
Lee, S., A., Kim, J. H., & Kim, M,-S. (2008, 7). Effect of a perceptual cue during sequential motor skill learning.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Jung, Y. J., Nguyen, N., Kim, M.-S. (2008, 7). How does awareness modulate the intertrial processing of task-relevant information?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Han, J. & Kim, M.-S. (2008, 7). The interaction of prime and mask in the processing of repeated-emotional stimuli,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Kim, K. M., Kim, Y. J., & Kim, M. -S. (2008, 7). Negative Priming of ignored context in visual search,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Seoul, Korea.
Jeong, S. K. & Kim, M.-S. (2008, 5). Social and emotional biases increase with monetary incentives through attentional inhibition. Vision 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Naples, Florida.
Han J. & Kim M-S. (2007, 8). Affective negative priming in response-inhibition paradigm. European Conference on Visual Perception. Arezzo, Italy.
Jung, Y. J., Lim, H. K., Lee, S. (2007, 10). The effect of awareness on intertrial priming effect.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on, Consciousness, and Culture, Seoul, Korea.
Lee, S., Jung, Y. J., Lim, H. K. (2007, 10). The effect of additional cue on the motor skill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on, Consciousness, and Culture, Seoul, Korea.
Lim, H. K., Lee, S., Jung, Y. J. (2007, 10). Effects of working memory load on implicit sequence learning .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on, Consciousness, and Culture, Seoul, Korea.
Han S. W., Kim, M. -S. (2007, 5). Do the contents of working memory capture attention? Yes, but it's under control.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Won, B. & Kim, M.-S. (2007, 5). The attentional tracking system in each hemifield cannot move toward the other hemifield.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Han, S. W. & Kim, M. -S. (2007, 1). Do the contents of working memory capture attention? Yes, but it's under control.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공군 항공안전관리단.
Won, B. & Kim, M.-S. (2007, 1). The attentional resource for tracking in each hemifield cannot move across the hemifield.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공군 항공안전관리단.
Jeong, S. K. & Kim, M.-S. (2007, 1). Monetary incentives increase attentional effects on social and emotional judgment.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공군 항공안전관리단.
Kim, M.-S. (2006, 7). Spatial Working Memory Content Serves as a Contextual Cue in Visual Search. The Fourth Asian Conference on Vision, Kunibiki Messe, Matsue, Japan.
민수정, 임현규, 김민식. (2006, 6). 얼굴 자극에 대한 작업기억 유지와 선택이 사회-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대회, 고려대학교.
김가민, 김민식. (2006, 6). What is learned in ignored visual context?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고려대학교.
한석원, 김민식. (2006, 6). Spatial working memory load impairs signal enhancement, not attentional orienting.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고려대학교.
Min, S. J., Kim, K. M., Won, B.Y., & Kim, M. -S. (2006, 5). Negative priming in pure perceptual-based sequence learning.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Min, S. J., & Kim, M. -S. (2006, 5). Concurrent working memory load can reduce distraction: An fMRI study.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Kim, K. M., & & Kim, M. -S. (2006, 5). What is learned in ignored visual context?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Kim, J. J., Kim, M. -S., & Chun, M. M. (2006, 5). Predictive spatial working memory content guides visual search.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Kim, H., J., & Kim, M, -S. (2006, 5). Working memory training reduces working memory load effect.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Han, S. W., & Kim, M. -S. (2006, 5). Spatial working memory load impairs signal enhancement, not attentional orienting.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Choo, H. Y., & Kim, M. -S. (2006, 5). Spatial selection either improves or impairs temporal selection in a RSVP task.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Baek, J. S., Yi, D. J., & Kim, M. -S. (2006, 5). Increasing perceptual difficulty reveals implicit spatial memory.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Ahn, J. W., Jeong, S. K., & Kim, M. -S. (2006, 5). Top-down attentional shift in object working memory task: A distinction between ‘what’ and ‘where’ in visual working memory still remains uncertain. Vision 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추희영, 김민식. (2006, 1). The Effect of Attentional Control on the Attentional Blink.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고려대학교.
민수정, 김가민, 원보영, 김민식. (2006, 1). Concurrent working memory load can reduce the interference from distractor: An fMRI study.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고려대학교.
김희정, 김민식. (2006, 1). Effect of working memory training on the working memory load effect.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고려대학교.
김장진, 김민식. (2006, 1). Predictive spatial working memory content serves as contextual cues.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고려대학교.
손영숙, 민수정, 김민식. (2005, 8). 공간적 주의가 단어와 비단어의 지각적 검화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지리산국립공원 한화리조트.
탁경진, 김민식. (2005, 8). 작업기억이 시각적 표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지리산국립공원 한화리조트.
안지원, 김민식. (2005, 8). 시각 탐색과 공간적 작업기억간 상호 간섭의 원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지리산국립공원 한화리조트.
Park, S. J., Kim, M. -S., Chun, M. M. (2004, 9). The type of working memory load influences the magnitude of distractor interference in a selective attention task. Vision 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Sarasota, Florida.
Kim, S.-Y., & Kim, M.-S. (2004, 9). Stroop interference increases or decreases depending on type of concurrent working memory load. Society for Neuroscience 2004, San Diego, CA, US.
Tark, K.-J., & Kim, M.-S. (2004, 11)The effects of working memory on visual marking.The Third Asian Conference on Vision, ACV2004, Chongqing, China.
Han, J., Chung, C. S., & Kim, M. -S.(2004, 11) The effect of race and emotion on facial memory, ACV2004, Chongqing, China.
Ahn, J.-W, & Kim, M.-S. (2004, 11) The roles of spatial attention and spatial working memory during visual search The Third Asian Conference on Vision, ACV2004, Chongqing, China.
김소연, 김민식. (2004, 8). 작업기억의 부하가 스트룹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심리학회 하계 연차대회. 부산대학교.
손영숙, 김민식. (2004, 7). 대뇌 반구의 상호작용이 스트룹 간섭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험심리학회 여름학술대회 발표 논문. 대구 경북대학교.
Choi, H. J., & Kim, M.-S. (2004, 6).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on visual temporal resolution. 한국 인지과학회
Sohn, Y-S., & Kim, M -S. (2004, 6). The ninety-ninth way to reduce response conflict. 2004 Korea-Japan Joint Symposium on Emotion & Sensibil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oen, Korea.
Kim, S.-Y., & Kim, M.-S. (2004, 4). The effect of working memory load on stroop tasks. 한국 뇌 학회.
Sohn, Y-S., & Yang H. (2004, April). When does the between-hemisphere separation of target and distractor reduce interference due to competing responses? Paper presented at the 11th Cognitvie Neur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San Francisco.
Kim, M.-S.(2003, 9). Priming effect on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 ECVP, Paris.
Oh, S. H., & Kim, M.-S. (2003, 8). The biasing effect of working memory during non-specific target search. 한국 심리학회 연차 학술대회
양혜진, 김민식. (2003, 8). 주의의 할당이 주의와 선택의 분리 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 학회 연차 학술대회.
손영숙. (2003. 8). 그 여자의 뇌, 그 남자의 뇌.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심포지엄 발표 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Yang, H. J., & Kim, M.-S. (2003, 7). What affects the dissociation between attentional selection.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Kim, M.-S.(2003, 5) The guidance effect of working memory load on visual search. Vision Science Society.
Sohn, Y-S., & Lee, H-K. (2003, 4). Do we need interhemisphric interaction to reduce inter-item interference?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이현규, 김민식 (2002,8) Activity and familiarity of memory contents influence spatial attention. The 25th European Conference on Visual Perception (Glasgow, UK)
오세환, 김민식 (2002,7) Visual search efficiency is affected by spatial working memory. The Second Asian Conference on Vision (경주)
한상훈, 김민식 (2002,7) Visual search does not remain efficient when working memory is working. The Second Asian Conference on Vision (경주)
권민영, 김민식 (2002,7) What makes individual differences in spatial working memory?. The Second Asian Conference on Vision (경주)
손영숙, 이현규, 옥애니, 김민식 (2002,7) Attention is necessary for the recognition of viewpoint-specific novel object. The Second Asian Conference on Vision (경주)
손영숙, 이현규 (2002, 7) 대뇌반구의 상호작용이 반구간 전역-국지 간섭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여름 학술대회 (대전 신용협동조합 연수원)
한세현, 김민식 (2002,7) 시각적 표시 패러다임에서 맥락단서효과는 나타나는가.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여름 학술대회 (대전 신용협동조합 연수원)
현진실, 김민식 (2002,7) 시각탐색에서 배경맥락의 암묵적 학습.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여름 학술대회 (대전 신용협동조합 연수원)
권미경, 김민식 (2002,1) 주의의 대상효과에 대한 재고찰: 움직이는 대상에서의 회귀억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연세대학교)
한상훈, 김민식 (2002,1) 작업 기억이 시각탐색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겨울 학술대회 (연세대학교)
Sohn,Y. S., Kwon, M. Y., & Kim, M. S. (2001,8) Bi-hemispheric Division of Inputs Reduces Negative Compatibility Effect.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Beijing)
Kwon, M. K., & Kim, M. S. (2001,8) Object Effects Mediated by Location-Based Selection.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Beijing)
백종수, 이도준, 김민식 (2001,7) 청각적 배경광고의 암묵적 기억효과.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여름 학술대회 (전남대학교)
권미경, 김민식 (2001,6) 움직이는 대상에서의 공간적 주의의 효과.한국 뇌학회 연차 학술대회 (숭실대학교)
연은경, 김민식 (2001, 6) 의미적 맥락에 대한 처리가 암묵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서울대학교), 150-155.
옥애니, 김민식 (2001, 1) 상징적 공간표상에서의 상향적 및 하향적 주의기제,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서울대학교), 1-14.
박연우, 김민식 (2001, 1) 주변자극의 위계적 수준이 목표자극의 국소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서울대학교), 23-35
Robertson, L. C., & Kim, M. S. (2000, November). Intact implicit spatial knowledge after bilateral parietal lobe lesions. Society for Neuroscience, Abstract 26, 1588.
Garng, H.-J., Kim, M.-S., & Hyun, J.-S. (2000, November). Orientation Dependence in Shape Recognition on the Surface of a 3-D Object.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Psychonomic Society, New Orleans.
Kim, M.-S., & Yi, D.-J. (2000, August). Inhibition of Return and Visual Masking at Invisible Objects behind Occluders, European Conference on Visual Perception 2000 (Groningen, Netherlands).
옥애니, 김민식 (2000, 7) 선택적 주의가 지각적 점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여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통신 지리산 수련관), 66-72.
심원목, 김민식 (2000, 6) 맥락 단서효과에서 맥락의 구성요소, 한국 뇌학회 연차 학술대회 (연세대학교), 27.
이도준, 김민식 (2000, 1) 가려진 대상에서의 회귀억제와 차폐 효과,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육군사관학교), 83-93.
강현정, 김민식 (2000, 1) 입체적 대상 표면에서의 형태 재인의 방위 의존성,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논문집 (육군사관학교), 95-103.
김민식, 이도준 (1999, 7) 위치에 근거한 선택에서의 위치의 본질: 상징적 공간 탐사 과제로부터의 증거,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여름학술대회 논문집 (영남대학교), 1-11.
Shim, W.-M., & Kim, M.-S. (1999, July). Effects of selective attention on repetition priming for visual search elements,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Waseda Univ. Tokyo), 815-818.
심원목, 김민식 (1999, 7) 선택적 주의와 단어 정체 확인과정이 암묵기억과 외현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여름학술대회 논문집 (영남대학교), 69-82.
Yi, D.-J., & Kim, M.-S. (1999, July). The line motion illusion in visual search (1999, 7),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 (Waseda Univ. Tokyo), 591-594.
이도준, 김민식 (1999, 5) 시각탐색을 통한 선분운동 착시의 유도: 주의경감 가설과 가현운동 가설의 비교,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고려대학교), 496-506.
김민식 (1999, 1) 선택적 주의 연구의 인지 및 신경심리학적 접근. Neuro-computing 연구회 정기세미나.
김민식 (1998, 10). 초점주의과제에서 지각적 군집화와 공간적 선택.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대회 논문집(서울대학교), 617-631.
Robertson, L. C., Kim, M.-S., & Barnes, L. (1998, April). Attentional cueing effects: The role of perceived space.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San Francisco, CA.
Kim, M.-S., & Robertson, L. C. (1997, November). Unconscious spatial information in a patient with Balint's syndrome. Psychonomic Society Annual Meeting, Philadelphia, PA.
Kim, M.-S., & Robertson, L. C. (1997, March). Spatial attention in feature search: Evidence from a patient with bilateral parietal lesions.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Boston, MA.
Kim, M.-S., & Cave, K. R. (1996, October). How grouping affects spatial attention during visual search. Psychonomic Society Annual Meeting, Chicago, IL.
Kim, M.-S., & Cave, K. R. (1996, April). Measuring spatial attention during task-irrelevant perceptual grouping.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ARVO), Fort Lauderdale, FL.
Cave, K.R., Kim, M.-S., Bichot, N.P., & Sobel, K.V. (1996, March). Modeling feature and conjunction searches with feature-driven location selection.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San Francisco, CA.
Kim, M.-S., & Cave, K. R. (1994, November). A neural network model for visual selection. Psychonomic Society Annual Meeting, St. Louis, MO.
Kim, M.-S., & Cave, K. R. (1993, November). Spatial attention in searching for features and feature conjunctions. Psychonomic Society Annual Meeting, Washington, DC.
Kim, M.-S., & Chung, C. S. (1988). The effects of letter form and meaningfulness of syllable on Hangul recognition.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Experimental & Cognitive Branch Meeting, Seoul, Korea.